Ⅰ. 관리기
관리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가벼우며, 비닐하우스 내나 과수원 등과 같이 좁고 낮은 공간에서도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노약자나 부녀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작이 간편하고, 경운 · 정지, 김매기, 구굴, 휴립(이랑), 비닐 피복 등 여러 가지 작업에 두루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계이다. 현재 아세아종합기계(주)를 비롯하여 대동공업(주), 국제종합기계(주), 동양물산기업(주), LS전선(주), 대흥기계공업(주) 등 국내 6대 업체들이 모두 생산하고 있으며, 최근 해륙기계공업(주), 한일인더스트리(주) 등에서도 생산하고 있다.
● 운전 전 점검
• 소형 경량인 관리기의 기계적 성능, 취급방법을 숙지한다.
• 작업에 적합한 복장을 착용한다.
• 점검정비를 할 때는 반드시 평탄한 장소를 선택하여 엔진을 정지하고 안전을 확인한다.
• 실내에서 운전할 때는 배기가스에 중독될 위험이 있으므로 충분한 환기를 한다.
• 연료를 보충할 때는 화기에 주의하고 엔진이 작동 중이거나 정지 직후 과열된 상태에서는 연료를 보충하지 말아야 한다.
• 윤활유 교환은 운전 후 오일이 따뜻한 상태에서 교환한다.
● 운전 중 주의사항
• 벨트 교환 시 반드시 엔진을 정지한 후에 시행한다.
• 동력전달 축(PTO)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뚜껑을 씌운다.
• 차량에 상하차할 때는 차량 주차 브레이크를 걸고 상하 차대는 적재할 높이의 4배 이상 길고 튼튼한 하차 대를 확실히 고정하고 저속으로 운전한다. 이때 상하차 시 사이드클러치를 조작하지 말아야 한다.
• 높낮이 차이가 큰 포장에 출입 시는 상하 차대를 반드시 사용한다.
• 기계 작동 중 기계의 회전부나 작동부, 소음기 등에 주의한다.
• 회전 또는 이동할 때는 반드시 작업기 회전을 정지시킨다.
• 작업기를 붙이고 뗄 때는 반드시 평탄한 장소를 선택하고 본체와 작업기 사이에 들어가지 말아야 한다.
• 작업과 관계없는 사람은 기계에 접근하지 않도록 한다.
• 작업 중에는 적당한 휴식을 취하여 과로하지 않도록 유의한다.
● 보관 및 관리방법
• 연료탱크, 연료 여과기, 기화기의 연료를 모두 빼낸다.
• 엔진 및 변속 케이스 오일을 점검하여 보충하거나 교환한다.
• 점화플러그 구멍으로 실린더 내에 엔진오일 5~10cc를 넣어 공회전시킨 다음 점화플러그를 조이고 플라이휠을 시계 방향으로 돌려 압축을 느끼는 곳에서 멈추어 보관한다.
• 본체 및 작업기를 깨끗이 닦고 정비 점검하여 통풍이 잘되고 건조한 실내에 보관한다.
• 회전부, 작동부, 와이어류에 오일을 주입하거나 그리스를 바른다.
• 각 주유구의 공기구멍은 습기가 들어가지 못하게 봉한다.
'농업기술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관리기의 세부 명칭 및 기능 (0) | 2020.01.23 |
---|---|
관리기 강좌자료1 (0) | 2020.01.23 |
식초와 매실효소를 이용한 고추탄저병 치료 및 예방방법 (0) | 2020.01.22 |
액비만들기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(0) | 2020.01.22 |
희석배수 (0) | 2020.01.22 |